외국의 중산층 기준

반응형

한국에서 중산층이란? 

몇 억 이상의 부동산

몇 CC이상의 자동차 

심지어 몇 번 이상의 해외여행

외국의 기준도 같을까?

 

 

한국의 중산층 기준 

반응형

이래서 한국에서는 중산층이 되기 힘들다. 이미 1번 항목부터 포기다. 30평 아파트야 지역이 기재되어있지 않으니 어디라도 가능하겠지만 '부채 없는' 30평 아파트라니. 

 

월 500만원 이상 급여라면 세전이라고 가정해도 연봉 6천만원 이상이여야 한다. 이것 외에도 별도로 은행에 1억 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중산층이 될 수 있다.

 

 

외국의 중산층 기준은? 

 

프랑스 중산층 기준

1) 1개 이상의 외국어 

2) 직접 즐기는 스포츠 

3) 1개 이상의 악기 

4) 색다른 요리 

5) 사회적 분노에 공감

6) 약자를 돕는 봉사활동

 

영국과 미국은?

영국과 미국도 프랑스와 항목별 내용은 다르지만, 맥락은 비슷하다. 

어디에도 금액이나 규모가 적혀있지 않다.

 

 

당신은 중산층 입니까?

당신은 중산층이라고 할 수 있습니까? 이 글을 읽으면서 여기까지 온 분들이라면 아마 저와 비슷한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한국 기준으로는 턱 없이 부족하다. 하지만 프랑스, 영국, 미국 이라면 나도 중산층인 것 같은데? 

 

[국어사전]
중산층 (中産層)[중산층]

재산의 소유 정도가 유산 계급과 무산 계급의 중간에 놓인 계급.
중소 상공업자, 소지주, 봉급생활자 따위가 이에 속한다.

 

한국과 외국의 가장 큰 차이점은? 

결국 '어떤 가치를 가지고 살 것인가'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숫자나 양적인 부(Wealth)에 가치를 두고 살 것인가 질적인 부(Wealth)에 조금 더 비중을 둘 것인가? 

 

한국의 중산층 기준은, 지금 한국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을 암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